dcsimg

디플라지옵시스과 ( Korean )

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

디플라지옵시스과(Diplaziopsidaceae)는 양치식물강 고사리목 분류군에 속하는 양치류 과의 하나이다.[1] 중간부터 큰 크기의 양치 식물로 숲 주변의 물가에서 발견된다. 땅줄기는 두껍고, 줄기는 지면을 기나 끝이 직립하는 복와상(伏臥狀, decumbent) 형태를 띤다.[2] 크리스텐휴즈(Maarten J. M. Christenhusz)와 장(Xuan-Chun Zhang)이 2011년에 처음 기술했으며, 디플로지옵시스속(Diplaziopsis)과 헤미딕티움속(Hemidictyum) 그리고 호말로소루스속(Homalosorus)의 3개 속을 포함시켰다.[2] 그러나 나중에 레토넨(Samuli Lehtonen)이 헤미딕티움속(Hemidictyum)을 꼬리고사리과의 자매군이 되어야 함을 입증했고,[3] 결국 헤미딕티움속은 헤미딕티움과라는 별도의 과로 분류되었다.[4]

하위 속

  • 디플로지옵시스속(Diplaziopsis) C. Chr. 1905
  • 호말로소루스속(Homalosorus) Small ex Pic. Serm. 1977

계통발생학적 관계

2016년 꼬리고사리아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.[5]

꼬리고사리아목

한들고사리과

       

라키도소루스과

     

디플라지옵시스과

     

데스모플레비움과

     

꼬리고사리과

   

헤미딕티움과

             

처녀고사리과

     

우드풀과

       

야산고비과

   

새깃아재비과

     

개고사리과

           

각주

  1. Alan R. Smith, Kathleen M. Pryer, Eric Schuettpelz, Petra Korall, Harald Schneider & Paul G. Wolf (2006). “A classification for extant ferns” (PDF). 《Taxon》 55 (3): 705–731. doi:10.2307/25065646.
  2. Maarten J. M. Christenhusz, Xian-Chun Zhang & Harald Schneider (2011). “A linear sequence of extant families and genera of lycophytes and ferns” (PDF). 《Phytotaxa》 19: 7–54.
  3. Samuli Lehtonen (2011). “Towards Resolving the Complete Fern Tree of Life” (PDF). 《PLoS ONE》 6 (10): e24851. doi:10.1371/journal.pone.0024851. PMC 3192703. PMID 22022365.
  4. Maarten J. M. Christenhusz & Harald Schneider (2011). “Corrections to Phytotaxa 19: Linear sequence of lycophytes and ferns” (PDF). 《Phytotaxa》 28: 50–52.
  5. PPG I (2016). “A community-derived classification for extant lycophytes and ferns”. 《Journal of Systematics and Evolution》 54 (6): 563–603. doi:10.1111/jse.12229.
 title=
license
cc-by-sa-3.0
copyright
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

디플라지옵시스과: Brief Summary ( Korean )

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

디플라지옵시스과(Diplaziopsidaceae)는 양치식물강 고사리목 분류군에 속하는 양치류 과의 하나이다. 중간부터 큰 크기의 양치 식물로 숲 주변의 물가에서 발견된다. 땅줄기는 두껍고, 줄기는 지면을 기나 끝이 직립하는 복와상(伏臥狀, decumbent) 형태를 띤다. 크리스텐휴즈(Maarten J. M. Christenhusz)와 장(Xuan-Chun Zhang)이 2011년에 처음 기술했으며, 디플로지옵시스속(Diplaziopsis)과 헤미딕티움속(Hemidictyum) 그리고 호말로소루스속(Homalosorus)의 3개 속을 포함시켰다. 그러나 나중에 레토넨(Samuli Lehtonen)이 헤미딕티움속(Hemidictyum)을 꼬리고사리과의 자매군이 되어야 함을 입증했고, 결국 헤미딕티움속은 헤미딕티움과라는 별도의 과로 분류되었다.

license
cc-by-sa-3.0
copyright
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