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도호저 또는 인도갈기산미치광이(학명: Hystrix indica)는 호저과에 속하는 대형 설치류의 일종으로 가장 큰 구대륙호저 종이다.[2][1] 아시아 남부와 중동의 토착종이다.[1]
특징
몸무게가 11~18kg에 이르는 대형 설치류다.[3] 꼬리 길이 8~10cm를 제외한 몸통 길이가 70~90cm이다.[4] 야생에서 기대 수명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포획된 암컷 중에서 최대 27.1년까지 살았던 기록이 있다.[3] 온 몸이 가시로 불리는 여러 겹의 변형된 털로 덮여 있으며, 더 길고 가는 가시가 짧고 굵은 가시 층을 덮고 있다.[3] 가시는 갈색 또는 검은색이고 희고 검은 띠가 번갈아 나타난다.[5] 가시는 케라틴으로 이루어져 있고 비교적 유연하다.[5]
각 가시는 피부 밑의 근육과 연결되어 있어서 호저가 위험을 느낄 때 깃털을 들어 올릴 수 있다.[5] 가장 긴 깃털은 목과 어깨 부위에 있고 몸 둘레에 일종의 "치마"를 형성한다.[5] 가시털 길이는 최대 51cm까지 자랄 수 있고[5] 대부분 15~30cm이다.[6] 등과 엉덩이 쪽에는 작고 더 딱딱한 가시는 촘촘히 나 있다. 작은 가시털은 잠재적인 위험이 있을 때 상대방을 찌르는 데 사용한다.[5] 꼬리 밑 부분에는 흰색으로 보이는 짧은 가시털 있고, 길고 속이 비어 있어서 외부로부터 위협을 받을 때 가시털을 흔들어 경고음을 낼 수 있다.[7] 대부분의 사람들이 믿고 있는 것과 달리 인도호저는 다른 모든 호저와 마찬가지로 깃털을 쏠 수 없다.[5]
인도호저는 몸 부피에 비해 표면적이 낮아 열 보전에 도움이 되는 땅딸막한 몸을 갖고 있다.[8] 굴을 파는 데 쓰는 긴 발톱과 함께 넓은 발을 갖고 있다.[3] 다른 모든 호저와 마찬가지로 인도호저는 냄새에 예민한 날카로운 끌 모양의 앞니를 갖고 있다.[5]
분포 및 서식지
인도호저는 서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 전역에서 발견되며,[3] 분포 지역은 아프가니스탄과 아르메니아, 아제르바이잔, 중국, 조지아, 인도, 이란, 이라크, 이스라엘, 요르단, 카자흐스탄, 레바논, 네팔, 파키스탄, 사우디아라비아, 스리랑카, 터키, 투르크메니스탄, 예멘을 포함하고 있다.[1] 환경에 대한 저항성이 유연하기 때문에 넓은 서식지 분포 지역을 차지하고 있다.[1] 암반 구릉 지대를 좋아하지만[3] 열대와 온대 관목 지대, 초원 지대, 숲, 농장, 교외 지역에서도 흔하게 발견된다.[1] 분포 지역은 풀의 계절성 밀집도와 굴을 파기에 적합한 땅을 사용할 수 있는 지에 제한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.[9] 보다 구체적으로 인도호저의 분포 지역 북쪽 범위는 최소 여름밤 기간에 제한 받는다. 최소 밤 기간이 7시간 이하인 위도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고, 이는 아마도 식이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필요한 먹이를 찾는 시간때문으로 추정된다.[10]
2018년 아랍에미리트 와디 우라야에서 인도호저가 발견되었다.[11][12]
먹이
인도호저의 먹이는 아주 다양하고 대부분 초식을 한다.[3] 뿌리와 열매, 곡물, 핵과, 덩이줄기 뿐만 아니라 곤충과 작은 무척추동물을 포함한 다양한 자연 식물과 농작물을 먹는다.[3][4][13][14] 맹장이 소화를 돕는 동물이기 때문에 질이 낮은 식물도 먹을 수 있다.[15] 뼈를 씹어 가시 깃털의 성장을 돕는 칼슘과 같은 미네랄을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.[4][6] 충분한 지방 축적물을 형성하는 능력은 계절에 따라 변경되는 서식지에서 살기 위해 적절하게 적응한 결과로 추정된다.[8]
덩이줄기를 파내는 과정에서 서식지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.[16][17] 또한 농작물을 좋아하기 때문에 분포 지역 대부분에서 심각한 농업 해충으로 간주되기도 한다.[10][18] 이런 이유로 성가신 동물 취급을 받기도 한다.[1]
습성
구대륙의 다른 호저처럼 야행성 동물이다.[3] 성체 호저와 젖을 뗀 새끼 모두 먹이는 구하는 데 매일밤 하루 평균 7시간을 보낸다.[10][19][20] 겨울철에 달빛을 피하는 경향이 있는 데 이는 포식자를 피하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.[19] 그러나 여름철에는 달빛을 피하지 않고(먹이는 구하기 위한 활동하는 시간이 적기 때문에) 대신 굴 근처에 머무는 경향이 있다.[19] 낮에는 굴 속에 머물지만 겨울에는 낮 동안 굴에서 나와 햇빛을 쬐기도 한다.[20][21][8]
인도호저는 반지중성 동물이다.[3] 천연 동굴이나 만든 굴 속에서 서식한다.[20][21] 잘 오르거나 뛰지 못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시간을 땅 위 또는 땅 아래에서 보낸다.[5] 그러나 헤엄을 잘 친다.[5] 인도호저의 포식자는 큰 고양이와[22][23] 카라칼, 늑대, 줄무늬하이에나, 아시아들개, 인도악어,[24] 사람 등이다.[19] 흥분하거나 겁을 먹으면 깃을 세워 더 크게 보인다.[5] 꼬리의 밑 부분의 속이 빈 깃을 덜컥거리거나 발을 구르고 으르렁거리거나 위협의 뒷쪽을 공격할 수 있다.[5]
번식
인도호저는 2월과 3월에 짝짓기를 한다.[25] 임신 기간은 평균 240일 동안 지속된다.[6] 암컷은 1년에 2~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.[4] 새끼는 눈을 뜬 채로 태어나고 생후 몇 시간 이내에 단단해지는 짧고 부드러운 깃털로 덮여 있다.[3] 새끼는 생후 13~19주가 지나면 완전히 젖을 떼지만 2살 경에 성적으로 성숙해지기 전까지는 부모 형제와 함께 굴에서 지낸다.[25]
각주
-
↑ 가 나 다 라 마 바 사 Amori, G., Hutterer, R., Kryštufek, B., Yigit, N., Mitsain, G. & Palomo, L.J. 2016. Hystrix indica (errata version published in 2017).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: e.T10751A115099509. https://dx.doi.org/10.2305/IUCN.UK.2016-3.RLTS.T10751A22231834.en. Downloaded on 08 September 2020.
-
↑ Woods, C.A.; Kilpatrick, C.W. (2005). 〈SPECIES Hystrix (Hystrix) indica〉. Wilson, D.E.; Reeder, D.M. 《Mammal Species of the World: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》 (영어) 3판.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. ISBN 978-0-8018-8221-0. OCLC 62265494.
-
↑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“Indian Crested Porcupine (Hystrix indica) - Information on Indian Crested Porcupine - Encyclopedia of Life”. 《Encyclopedia of Life》. 2015년 11월 19일에 확인함.
-
↑ 가 나 다 라 Prater, Stanley Henry (1965). 《The Book of Indian Animals》. Bombay: Diocesan Press.
-
↑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“Indian Crested Porcupine”. 《San Diego Zoo》. 2018년 3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20년 9월 9일에 확인함.
-
↑ 가 나 다 Gurung, K.K.; Singh, R. (1996). 《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the Indian Subcontinent》. San Diego: Academic Press.
-
↑ Ellerman, J.R. (1961). 《The Fauna of India》. New Delhi: Manager of Publications.
-
↑ 가 나 다 Alkon, Philip U.; Degen, A. Allan; Cohen, Anat; Pollak, Haya (1986년 5월 1일). “Seasonal Energy Requirements and Water Intakes of Indian Crested Porcupines (Hystrix indica) in Captivity”. 《Journal of Mammalogy》 67 (2): 333–342. doi:10.2307/1380887. JSTOR 1380887.
-
↑ Gorbunov, A.V. (1985). “Features of the ecology of porcupines in the deserts of eastern Prikaspia”. 《Soviet Journal of Ecology》 16: 248–253.
-
↑ 가 나 다 Alkon, Philip U.; Saltz, David (1988년 5월 1일). “Foraging Time and the Northern Range Limits of Indian Crested Porcupines (Hystrix indica Kerr)”. 《Journal of Biogeography》 15 (3): 403–408. doi:10.2307/2845271. JSTOR 2845271.
-
↑ Haza, Ruba (2018년 9월 12일). “Species of porcupine seen for first time in the Fujairah”. The National. 2020년 9월 9일에 확인함.
-
↑ De Leon, Janice Ponce (2018년 9월 13일). “First confirmed sighting of Indian crested porcupine in UAE”. Fujairah: Gulf News. 2020년 9월 9일에 확인함.
-
↑ Gutterman, Yitzchak; Herr, Nir (1981년 1월 1일). “Influences of porcupine (Hystrix indica) activity on the slopes on the northern Negev mountains — Germination and vegetation renewal in different geomorphological types and slope directions”. 《Oecologia》 51 (3): 332–334. doi:10.1007/BF00540902. ISSN 0029-8549. PMID 28310016.
-
↑ Kadhim, Abdul-Hassain H. (1997년 1월 1일). “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of the Indian Crested Porcupine Hystrix indica (Hystricidae: Rodentia) in Iraq”. 《Zoology in the Middle East》 15 (1): 9–12. doi:10.1080/09397140.1997.10637731. ISSN 0939-7140.
-
↑ Hanley, Thomas A. (1982년 3월 1일). “The Nutritional Basis for Food Selection by Ungulates”. 《Journal of Range Management》 35 (2): 146–151. doi:10.2307/3898379. JSTOR 3898379.
-
↑ Olsvig-Whittaker, L.; Shachak, M.; Yair, A. (1983년 11월 1일). “Vegetation patterns related to environmental factors in a Negev Desert watershed”. 《Vegetatio》 54 (3): 153–165. doi:10.1007/BF00047104. ISSN 0042-3106.
-
↑ Yair, A.; Shachak, M. (1982년 9월 1일). “A case study of energy, water and soil flow chains in an arid ecosystem”. 《Oecologia》 54 (3): 389–397. doi:10.1007/BF00380008. ISSN 0029-8549.
-
↑ Hafeez, Shahid; S., Khan, G.; Ashfaq, Muhammad; H., Khan, Z. “Food habits of the Indian crested porcupine (Hystrix indica) in Faisalabad, Pakistan.”. 《www.cabdirect.org》. 2015년 11월 20일에 확인함.[깨진 링크(과거 내용 찾기)]
-
↑ 가 나 다 라 Alkon, Philip U.; Mitrani, David Saltz (1988년 2월 25일). “Influence of Season and Moonlight on Temporal-Activity Patterns of Indian Crested Porcupines (Hystrix indica)”. 《Journal of Mammalogy》 69 (1): 71–80. doi:10.2307/1381749. ISSN 0022-2372. JSTOR 1381749.
-
↑ 가 나 다 Alkon, P. U.; Saltz, D. (1985년 12월 1일). “Potatoes and the Nutritional Ecology of Crested Porcupines in a Desert Biome”. 《Journal of Applied Ecology》 22 (3): 727–737. doi:10.2307/2403225. JSTOR 2403225.
-
↑ 가 나 Harrison, D.L. (1972). 《The Mammals of Arabia》 3. London: Ernest Benn.
-
↑ Kingdon, J.S. (1974). 《East African Mammals》 2. London: Academic Press.
-
↑ Owens, Mark; Owens, Delia (1984년 1월 1일). 《Cry of the Kalahari》. Houghton Mifflin Harcourt. ISBN 978-0395647806.
-
↑ Samarasinghe, Dinal J. S.; Alwis, Dilip (September 2017). “Crocodylus porosus (Saltwater Crocodile). DIET”. Research Notes. 《Herpetological Review》 48 (3): 630–631 – ResearchGate 경유.
-
↑ 가 나 van Aarde, R.J. (1985). “Reproduction in captive female Cape porcupines (Hystrix africaeaustralis)”. 《Journal of Reproduction and Fertility》 75 (2): 577–582. doi:10.1530/jrf.0.0750577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