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csimg

흰갈매기 ( Korean )

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

Glacous Gull on ice.jpg
 src=

흰갈매기(glaucous gull, Larus hyperboreus)는 크기가 큰 갈매기이며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크다. 북반구 북극 지역에서 알을 낳으며 겨울을 나기 위해 남쪽을 향해 전북구 해안으로 이주한다. 속명은 갈매기를 의미하는 라틴어 larus에서 비롯되었다. hyperboreus는 "북부"를 의미하는 라틴어이다.[1]

설명

매우 크고 힘이 센 갈매기로, 날개나 꼬리에 검은 부분이 없고 매우 창백한 색을 띄며 모든 갈매기 종들 가운데 2번째로 크다. 성체는 윗쪽이 창백한 회색이며 부리는 두껍고 노랗다. 몸무게는 960~2700그램에 이르며 이전에 보고된 성별로 따지면 수컷의 경우 평균 1.5kg, 암컷의 경우 1.35kg에 이른다.[2][3] 몸 길이는 55~77센티미터이고 날개 길이는 132~170센티미터이며 일부 종은 날개를 포함하여 182센티미터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.[3][4][5][6]

아종

4개의 아종이 식별된다.

  • L. h. hyperboreus, Gunnerus, 1767: nominate, found from northern Europe to north-western Siberia
  • L. h. pallidissimus, Portenko, 1939: found from north-western Siberia to the Bering Sea
  • L. h. barrovianus, Ridgway, 1886: found from Alaska to north-west Canada
  • L. h. leuceretes, Schleep, 1819: found from north-central Canada to Greenland and Iceland

각주

  1. Jobling, James A (2010). 《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》. London: Christopher Helm. 198, 219쪽. ISBN 978-1-4081-2501-4.
  2. Dunning Jr., John B., 편집. (1992). 《CRC Handbook of Avian Body Masses》. CRC Press. ISBN 978-0-8493-4258-5.
  3. Olsen, Klaus Malling; Larsson, Hans (2004). 《Gulls of North America, Europe, and Asia》. Princeton University Press. ISBN 978-0691119977.
  4. “Glaucous Gull”. 《All About Birds》. Cornell Lab of Ornithology. (2011)
  5. Harrison, Peter (1991). 《Seabirds: An Identification Guide》. Houghton Mifflin Harcourt. ISBN 978-0-395-60291-1.
  6. Weiser, Emily and H. Grant Gilchrist. (2012). Glaucous Gull (Larus hyperboreus), The Birds of North America (P. G. Rodewald, Ed.). Ithaca: Cornell Lab of Ornithology; Retrieved from the Birds of North America: https://birdsna.org/Species-Account/bna/species/glagul. DOI: 10.2173/bna.573
license
cc-by-sa-3.0
copyright
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

흰갈매기: Brief Summary ( Korean )

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
Glacous Gull on ice.jpg  src=

흰갈매기(glaucous gull, Larus hyperboreus)는 크기가 큰 갈매기이며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크다. 북반구 북극 지역에서 알을 낳으며 겨울을 나기 위해 남쪽을 향해 전북구 해안으로 이주한다. 속명은 갈매기를 의미하는 라틴어 larus에서 비롯되었다. hyperboreus는 "북부"를 의미하는 라틴어이다.

license
cc-by-sa-3.0
copyright
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